컴퓨터 It 덕질 끄적끄적/IT

컴퓨터 라이젠 7900으로 업그레이드 하다

쌀보리 2024. 3. 10. 12:14
728x90
반응형

인텔 i7-10700 시스템 몇년 써왔는데 본체 케이스가 프렉탈디자인 디파인 R5.  쿨러들 좋은거 사용하면 컴퓨터 켜놓은지 모를 정도로 조용해서 좋은데 발열해소가 열악한 케이스라(전면메쉬, 상단팬 있는 모델 대비 온도가 3~5도 정도 높은듯 합니다.)  10700으로 영상인코딩 하면 온도가 90~100도 찍혀서 불만이었습니다.  

인텔 14세대 14700k , 라이젠 7950라인도 고려는 해봤는데 공랭 쿨러만 고집하는 대깨공랭충이라  공랭으로는 아슬아슬하거나 언더볼팅 스윗스팟 구간옵션 찾는게 귀찮아질 거 같아서   7900x3d, 7900x 7900 중 발열이 착하다고 소문난  7900x3d , 7900 둘중 하나 고민하다가 어차피 게임도 안하고 가격차이가 꽤 커서 7900으로 구매했습니다.  cpu 쿨러는 대장급 공랭으로 소문난 RC1800 시리즈입니다.

 

구매 후 후다닥 조립 후 순정상태로 사용해보니 씨네벤치 23200점 정도 나왔었는데, 소비전력이 88w로 제한 되어있는지 최대 전력소모 90w정도에,  온도가  60도를 안 넘어서 조금 옵션을 주게 됐습니다. 바이오스에서 전력제한을 105w (7900x eco모드 옵션)으로 변경 후

씨네벤치 , 영상작업시 cpu 온도가 63~67도 정도로 온도가 순정대비 소폭 상승했지만 씨네벤치 25577점으로 순정대비 10%정도 향상이 있었네요.  

 

 수동으로 오버클럭 5.0~5,2 해봤는데   온도가 80도~95도 찍히니 7900x급으로 되어버려서, 지금 이대로 쭈욱 사용할 거 같습니다. 추후에 본체 케이스를 공기 순환 잘되는 모델로 바꿔서 온도가 낮아진다면 옵션 다르게 셋팅해볼 거 같지만,  라이젠 차세대 모델이 잘 나오면 cpu만 업글하게 될지도..? am5보드 마지막 소켓이라는 소문이 있으니...  

 

씨네벤치 10분째 온도 65.5도!  max온도가 74.9도 찍힌 건 부스트 클럭이 5.4~6.0으로 순간적으로 튀었을 때 찍힌걸로 예상됩니다.( 어이어이 잠깐!  7900 이거 최대 부스트 클럭 5.4일텐데 6.0이!?? ) 

i7-10700 8코어 --> 라이젠 7900  변경 후 영상인코딩 작업속도가 1/2 됐네요.  8코어 -> 12코어라  뭐 조금은 향상 되겠지 싶었는데  라이젠 7번대 ipc 와 인텔 10세대 ipc가 꽤 차이나는 거 같네요!  갓 AMD 발열도 착하고 성능도 잘 나오고~

 

p.s 7900 가지고 전력제한, 언더볼팅 옵션 조정해보며 며칠 사용해보니 7900x가 7900하고 가격차이도 안나고,  7900보단 수율이 좋은놈들일텐데 그거 사서 언더볼팅,전력제한 걸어서 사용하는게 낫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;;ㅋㅋ  언더볼팅이 뭐야뭐야!? 전력제한 어떻게 걸어!? 하는 분들은 속편하게 7900 사는게 좋을 거 같긴합니다.